성미인 이란 1

조 동 후 이 2

도후이 삼톤은 돈을 10억을 벌겁니다.
네이버

                    코코넛 피트 (coconut peat)

코코넛 피트는 코코넛coconut+peat 의 합성어이다. peat(이탄) 이탄 자체가 유기물이며 이탄은 회분량에따라 석회질이탄(calcic peat) 산성이탄(cacid peat)으로 나눈다.(산성 알카리성은 PH로 표시한다.) PH란 무엇인가? 이것은 수소 이온농도를 표시한것이며 0~14까지 있으며 7미만 산성 7이상은 알카리성이다. 즉 수소 이온이(H+)가 수산이온(OH-)보다 높으면 7에서 0까지 내려간다. 반대로 수산이온(OH-)가 수소 이온(H+)보다 높으면 알카리성이 된다. 0~1사이가 염산.황산이고 그 위에 3~4가 레몬이고 코코넛 피트의 PH는 5~6이다. 그리고 코코넛 피트에는 셀룰로오스(cellulose) 성분이 (35~45%)가 함유되어있다. 셀룰로오스는 (cell)세포벽 주성분이며 그어떤 식물이라면 함유되어 있는데 식물에30% 나 들어있다. 셀룰로오스는 면의 섬유질이며 탈지하여 묽은 알카리 수용액과 끓여져 얻어진다. 무색무취이며 백색고체이다. 물에 녹지않으며 PH 알카리에 강하나 PH 산성에는 가수분해 된다. 최소 단위는 미셀이며 지름0.05nm,길이0.6nm이다. 화학약품에 저항력도 강하고 미생물에 침식도 당하지않는다. 이것이 유기화합물이며 식물세포의 기본구조이다. 코코넛 피트에는 이 셀룰로오스가 풍부하다. 뿐만아니라 코코넛피트는 양이온치환능력이 뛰어나다. 양이온치환(cation exchaing capaclty)이란? 토양이 영양소를 방출하고 보유,흡수,하는 능력을 말한다. 양이온치환은 좋은 토양인지 좋지않은 토양인지 판단하는 척도가 된다. 기본적으로 토양과식물의 뿌리는 -극을 띠고있어서 +양이온을 자연적으로 받아들인다. 그래서 식물의 비료를 선택할때는 항상 고심하고 잘 알아야한다. 예로들어 염기성 비료가 많다고 무조건 좋은것은 아니다 N 나트륨이 너무 많으면 식물은 죽을것이다. 뭐든지 적당해야하며 PH 농도 집안의 기온 기후 등. 식물에 어마한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코코넛 피트(coconut peat)는 원예에서는 흙 대용으로 이용되며 저렴하고 영양분도 많다. 보습력 통기성 물론이고 양이온 치환능력도 상당히 좋은 유기물이다.      

'土의 종류 및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사토란?(まさご)  (0) 2017.08.29
펄라이트(perlite)란?  (0) 2017.08.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