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미인 이란 1

조 동 후 이 2

도후이 삼톤은 돈을 10억을 벌겁니다.
네이버

                  성미인이란?(Pachyphytum oviferum)

성미인의 원산지는 멕시코 이고 자라는 곳은 절벽 바위틈에서 종종 발견된다고한다. 영어이름은(Pearly moonstones)라고 불리며 한국에서는 돌나무과로 분류되어있다. 특징은 잎은 "은방울 꽃" 이라는 말이 있고 목은 장미목이라고 하며 "rosette" 라고 하는 별명이 있다. 즉 짧은 줄기가 땅에 붙어서 사방으로 나는 잎들을 말하고 촘촘한 덩어리로된 덩어리들을 형성한다. 여러모양이 있는데 인기가 있는 모양은 둥근 타원형나뭇잎 모양이라고 한다. 줄기 납작하고 초록빛을 띠며 잎은 길이가 5cm, 폭3cm,에 통통하고 단단하며 타원형 모양에 은빛,푸른빛,청록색으로 종류가 있으며 짙은 흰색가루가 있는데 이 가루는 수분을 보존하고 강한 햇빛으로 부터 보호한다.꽃은 아치형으로 생겼는데 최대 7~15cm로 자라며 꽃봉우리 모양은 1cm 정도의 펜던트 모양이고 잎은 녹색이고 꽃잎은 붉은색을 띤다. 성미인 역시 방울복랑금과 마찬가지로 겨울이 활동기이다. 그리고 방울복랑금과 마찬가지로 약간 그늘이 있는 햇빛을 쬐주는게 좋다 식물은 밝은 빛을 쬐는 것이 단단하게 유지하고 잎색깔과 꽃을 장려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성미인은 깍지벌레 즉 즙을 빨아먹는 벌레이며 온실에서 자주 생기고는 한다.

 

 

 

 

 

 

 

 

 

 

 

 

 

 

 

 

                                                  마사토란?

일본+한자가 결합한 말이다. 일본에서는 마사고(まさご) 고운모래라고 정의 되어있는데 마사고의 특징은 화강암이 풍화되어 된 흙이고 화강토라고도 읽는다.그리고 마사토의 알갱이의 크기는 대부분 1mm이상으로 모래나 흙보다는 큰 편이다. 그래서 흙도 아니고 암석도 아닌 애매한 비료이다. 뿐 만아니라 자갈이 많지 않으며 물 빠짐이 좋은 모래이다.그리고 세균도 거의 없어서 싹을 틔울때 좋으며 토질개량을 할때 많이 사용되며 하지만 마사고는 소립,중립,대립으로 구성되어 판매되고있다. 이렇게 구성되어있는 이유는 이러하다 소립은 진흙,모래가 많이 섞여있다.  중립,대립으로 가면 진흙 모래가 적다.다육식물은 건조해야하는데 소립 처럼 진흙,모래가 많이 있으면 배수성이 떨어지고 보습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과습의 원인이 괸다. 그래서 꼭 씻어 햇볕에 쬐 주길바란다. 마사고의 특징중 하나는 TDS(Total Dissolved solid) 화분에 물을부어 걸러진 물을 Test하는 것인데 결과는 통기성 투수성이 좋기 때문에 물의 TDS 수치가 낮으며 물을 정화 하는데 이용하면 좋을 것이고 마사토는 투수성이 좋고 잘 다져지지 않음으로 운동장을 만드는 가장 좋은 재료다.마사토 알갱이의 크기는 대부분 1mm이상으로 흙이나 모래보다 큰 편이다.

 

 

 

 

'土의 종류 및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펄라이트(perlite)란?  (0) 2017.08.27
코코넛 피트 (coconut peat)란?  (0) 2017.08.26

           방울복랑금이란?(Cotyledon oriculatavar. oophylla)

 

 

방울복랑금의 서식지는 이러하다 Nabia and south west africa에서 서식한다. 방울복랑금은 독일의 식물학자이자 탐험가 커트 Dinter에 의해

난쟁이식물이라 지어졌다. 먼저 외관은 잎은 작고 모양은 약간 달걀형태를 하고있으며 색은 보통 선홍색을 띠며 꽃은 축 늘어졌다. 줄기는 곧고 가늘고 길이도 길고 잎은 통통하다. 최고 25cm까지 자라며 한번 또는 두번 분할성장을 한다. 잎은 털이 없으며 납작한잎에 grey-green에 자주색의 색을 띠고 있으며 잎들은 햇빛으로 부터 수분유지를 도와주고 잎의 하얀과분이 있는데 영어로는 밀랍이라고 표현한다. 꽃은 원뿔모양으로 무리지어 개화하며 줄기는 최고40cm까지 자라며 꽃들이 관모양으로 자란다. 꽃의 색은 핑크,오렌지, 가끔 노란색으로 존재하기도한다. 꽃의 잎은 바깥으로 말린모양이다. 꽃의 냄새는 곰팡이 같은냄새가 난다고 한다. 방울복랑금의 씨앗은 극히작은데 0.01mg으로 무게도 가볍다. 아프리카 건조한 지역에서 매우 작은 먼지같은 씨앗을 가지고바람에 의해 날려 토양에 장착한다. 복랑금은 잎의색깔 길이,모양 성장크기 등 그 나라 환경에 잘 적응 한다고 한다. 성장률은 기본적으로 느리지도 빠르지도 않다 빨리 안자란다고 영양제 많이 주지는 말자 벌레가 생기기 쉬워지며 뿌리도 약하게된다. 성장조건은 모래가 가장좋다. 그 이유는 방울복랑금 자체가 건조한 지역에서 잘자라기 때문에 뿌리의 배수성이 가장좋아야 하기 때문이다. 비료교체는 활성기인 겨울에 하는것이 좋다. 방울복랑금은 부분 그늘에서 잘자라지만 햇빛에 잘 타기도한다. 항상 시원하고 직사광선은 피하는게 색이 이쁘다. 색조가 짙어지면 녹색 색조가 얕으면 푸른회색을 띨 것이다. 겨울이 활동기라 지만 서리는 안끼도록 해야한다. 마지막으로 복랑금은 정통의학에 사용되었는데 사마귀,가려움증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다육이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미인이란?(Pachyphytum oviferum)  (0) 2017.08.30
psudolithos eylensis(프세도리토스)  (0) 2017.08.25

+ Recent posts